728x90

단계별로 풀어보기 DFS와 BFS의 4단계 문제이다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

www.acmicpc.net

3단계 문제인 2667번과 입출력 방법 말고는 거의 같아서 쉽게 풀 수 있었다.

오히려 배추 개수를 출력할 필요가 없어서 더 쉬웠다.

def dfs(row, col):
    if li[row][col] == 0 or visited[row][col]:
        return 0
    stack = []
    stack.append((row, col))
    while stack:
        cur = stack.pop()
        visited[cur[0]][cur[1]] = True
        if li[cur[0] - 1][cur[1]] == 1 and not visited[cur[0] - 1][cur[1]]:
            if 1 <= cur[0] - 1 <= n and 1 <= cur[1] <= m:
                stack.append((cur[0] - 1, cur[1]))
        if li[cur[0] + 1][cur[1]] == 1 and not visited[cur[0] + 1][cur[1]]:
            if 1 <= cur[0] + 1 <= n and 1 <= cur[1] <= m:
                stack.append((cur[0] + 1, cur[1]))
        if li[cur[0]][cur[1] - 1] == 1 and not visited[cur[0]][cur[1] - 1]:
            if 1 <= cur[0] <= n and 1 <= cur[1] - 1 <= m:
                stack.append((cur[0], cur[1] - 1))
        if li[cur[0]][cur[1] + 1] == 1 and not visited[cur[0]][cur[1] + 1]:
            if 1 <= cur[0] <= n and 1 <= cur[1] + 1 <= m:
                stack.append((cur[0], cur[1] + 1))
    return 1

test_case = int(input())
from sys import stdin

for i in range(test_case):
    m, n, k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li = [[0] * m for j in range(n)]
    for j in range(0, k):
        rawInput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li[rawInput[1]][rawInput[0]] = 1
    li.insert(0, [0] * (m + 2))
    li.append([0] * (m + 2))
    for j in range(1, n + 1):
        li[j].insert(0, 0)
    for j in range(1, n + 1):
        li[j].append(0)
    visited = [[False for j in range(m + 2)] for i in range(n + 2)]
    count = 0
    for j in range(1, n + 1):
        for l in range(1, m + 1):
            count += dfs(j, l)
    print(count)


728x90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399 ATM  (0) 2020.01.10
[백준] 11047 동전0  (0) 2020.01.10
[백준]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2020.01.08
[백준] 2606번 바이러스  (0) 2020.01.08
[백준] 1260번 DFS와 BFS  (0) 2020.01.08
728x90

단계별로 풀어보기 DFS와 BFS의 3단계 문제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들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

www.acmicpc.net

dfs로 풀었는데 시간이 꽤 많이 걸렸다. 두 시간 넘게 걸린 것 같다.

그래프의 탐색이나 이렇게 배열이 주어졌을 때의 탐색이나 방법은 똑같은데 괜히 복잡하게 생각한 것 같다.

덕분에 이제 dfs가 조금 익숙해진 것 같다.

def dfs(row, col, clist):
    if li[row][col] == '0' or visited[row][col]:
        return 0
    stack = []
    stack.append((row, col))
    c = 0
    while stack:
        cur = stack.pop()
        if not visited[cur[0]][cur[1]]:
            visited[cur[0]][cur[1]] = True
            c += 1
        if li[cur[0] - 1][cur[1]] == '1' and not visited[cur[0] - 1][cur[1]]:
            if 1 <= cur[0] - 1 <= n and 1 <= cur[1] <= n:
                stack.append((cur[0] - 1, cur[1]))
        if li[cur[0] + 1][cur[1]] == '1' and not visited[cur[0] + 1][cur[1]]:
            if 1 <= cur[0] + 1 <= n and 1 <= cur[1] <= n:
                stack.append((cur[0] + 1, cur[1]))
        if li[cur[0]][cur[1] - 1] == '1' and not visited[cur[0]][cur[1] - 1]:
            if 1 <= cur[0] <= n and 1 <= cur[1] - 1 <= n:
                stack.append((cur[0], cur[1] - 1))
        if li[cur[0]][cur[1] + 1] == '1' and not visited[cur[0]][cur[1] + 1]:
            if 1 <= cur[0] <= n and 1 <= cur[1] + 1 <= n:
                stack.append((cur[0], cur[1] + 1))
    clist.append(c)
    return 1
n = int(input())
from sys import stdin

li = []
clist = []
for i in range(n):
    rawInput = stdin.readline()
    li.append(list(rawInput))
    li[i].insert(0, '0')
li.insert(0, [0] * (n + 2))
li.append([0] * (n + 2))
for i in range(1, n + 1):
    li[i][n + 1] = '0'
visited = [[False for j in range(n + 2)] for i in range(n + 2)]
count = 0
for i in range(1, n + 1):
    for j in range(1, n + 1):
        count += dfs(i, j, clist)
clist.sort()
print(count)
for i in clist:
    print(i)


 

27일 뒤 C++로 다시 풀어보기

다시 풀어보니 정말 쉽게 풀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tuple>
#include <algorithm>
#include <queue>
#include <vector>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cin >> n;
	vector<string> map(n);
	for (int i = 0; i < n; i++) {
		cin >> map[i];
	}
	vector<int> countApartment;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map[i][j] == '1') {
				queue<pair<int, int>> q;
				q.push(make_pair(i, j));
				int count = 0;
				while (!q.empty()) {
					pair<int, int> cur = q.front();
					q.pop();
					if (map[cur.first][cur.second] == '1') {
						map[cur.first][cur.second] = '2';
						count++;
						if (cur.first - 1 >= 0 && map[cur.first - 1][cur.second] == '1') {
							q.push(make_pair(cur.first - 1, cur.second));
						}
						if (cur.first + 1 < n && map[cur.first + 1][cur.second] == '1') {
							q.push(make_pair(cur.first + 1, cur.second));
						}
						if (cur.second - 1 >= 0 && map[cur.first][cur.second - 1] == '1') {
							q.push(make_pair(cur.first, cur.second - 1));
						}
						if (cur.second + 1 < n && map[cur.first][cur.second + 1] == '1') {
							q.push(make_pair(cur.first, cur.second + 1));
						}
					}
				}
				countApartment.push_back(count);
			}
			else continue;
		}
	}
	sort(countApartment.begin(), countApartment.end());
	cout << countApartment.size() << endl;
	for (int i = 0; i < countApartment.size(); i++) {
		cout << countApartment[i] << endl;
	}
	return 0;
}
728x90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047 동전0  (0) 2020.01.10
[백준] 1012 유기농 배추  (0) 2020.01.08
[백준] 2606번 바이러스  (0) 2020.01.08
[백준] 1260번 DFS와 BFS  (0) 2020.01.08
[백준] 1912 연속합 (미해결)  (0) 2020.01.07
728x90

단계별로 풀어보기 DFS와 BFS의 2단계 문제

 

2606번: 바이러스

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서 그 수만큼 한 줄에 한 쌍씩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번호 쌍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파이썬과 C++로 풀어보았다.

파이썬 코드

class Graph:
    def __init__(self, n):
        self.data = {}
        for i in range(1, n + 1):
            self.data[i] = set()
    def add_edge(self, n, m):
        self.data[n].add(m)
        self.data[m].add(n)
    def dfs(self, start):
        count = 0
        visited = [False] * (len(self.data) + 1)
        stack = []
        stack.append(start)
        while stack:
            cur = stack.pop()
            if not visited[cur]:
                count += 1
            visited[cur] = True
            temp = []
            for i in self.data[cur]:
                if not visited[i]:
                    temp.append(i)
            temp.sort()
            temp.reverse()
            stack.extend(temp)
        print(count - 1)

from sys import stdin

nodeCount = int(input())
edgeCount = int(input())
graph = Graph(nodeCount)
li = []
for i in range(0, edgeCount):
    rawInput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graph.add_edge(rawInput[0], rawInput[1])
graph.dfs(1)

C++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tuple>
#include <queue>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w[101];
vector<bool> visited(101);


int main() {
	int numOfComputers;
	cin >> numOfComputers;
	int numOfEdge;
	cin >> numOfEdge;
	for (int i = 0; i < numOfEdge; i++) {
		int n, m;
		cin >> n >> m;
		w[n].push_back(m);
		w[m].push_back(n);
	}
	queue<int> q;
	q.push(1);
	while (!q.empty()) {
		int cur = q.front();
		q.pop();
		if (!visited[cur]) {
			visited[cur] = true;
			for (int i : w[cur]) {
				q.push(i);
			}
		}
	}
	int count = 0;
	for (int i = 1; i <= numOfComputers; i++) {
		if (visited[i]) count++;
	}
	cout << count - 1;
	return 0;
}

2월 4일에 이렇게 풀고 두 달 뒤인 4월 7일에 C++로 다시 풀어보았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umOfComputers, n;
	cin >> numOfComputers >> n;
	vector<int> v[101];
	vector<bool> visited(numOfComputers + 1);
	for (int i = 0; i < n; i++) {
		int from, to;
		cin >> from >> to;
		v[from].push_back(to);
		v[to].push_back(from);
	}
	stack<int> s;
	s.push(1);
	while (!s.empty()) {
		int cur = s.top();
		s.pop();
		visited[cur] = true;
		for (int i = 0; i < v[cur].size(); i++) {
			if (!visited[v[cur][i]]) {
				s.push(v[cur][i]);
			}
		}
	}
	int cnt = 0;
	for (int i = 2; i <= numOfComputers; i++) {
		if (visited[i] == true)
			cnt++;
	}
	cout << cnt;
	return 0;
}

이번에는 DFS로 풀어보았다. 막 다른 길이 나왔을 때 가지치기를 빨리 하라고 DFS를 쓰긴 했는데 DFS를 쓰나 BFS를 쓰나 별 차이는 없을 것 같다.

이 문제는 가중치가 없는 무방향 그래프에서 1부터 탐색을 하면 된다. 그렇게 방문된 노드의 수에서 1을 빼면 그게 바이러스에 걸린 컴퓨터 대수이다. 바이러스든 뭐든 퍼트리는 것은 다 DFS, BFS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프를 저장하는 방법은 벡터를 사용했다. 벡터의 배열을 사용해서 노드 i와 연결된 노드들은 v[i] 벡터에 push_back 해줘서 차곡차곡 넣어주었다.

728x90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12 유기농 배추  (0) 2020.01.08
[백준]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2020.01.08
[백준] 1260번 DFS와 BFS  (0) 2020.01.08
[백준] 1912 연속합 (미해결)  (0) 2020.01.07
[백준] 9963번 N-Queen  (0) 2020.01.06
728x90

단계별로 풀어보기 DFS와 BFS의 1단계 문제

 

1260번: DFS와 BFS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www.acmicpc.net

이번에는 파이썬으로 풀어봤다.

class Graph:
    def __init__(self, n):
        self.data = {}
        for i in range(1, n + 1):
            self.data[i] = set()
    def add_edge(self, n, m):
        self.data[n].add(m)
        self.data[m].add(n)
    def dfs(self, start):
        visited = [False] * (len(self.data) + 1)
        stack = []
        stack.append(start)
        while stack:
            cur = stack.pop()
            if not visited[cur]:
                print(cur, end=" ")
            visited[cur] = True
            temp = []
            for i in self.data[cur]:
                if not visited[i]:
                    temp.append(i)
            temp.sort()
            temp.reverse()
            stack.extend(temp)
    def bfs(self, start):
        import collections
        visited = [False] * (len(self.data) + 1)
        queue = collections.deque()
        queue.append(start)
        while queue:
            cur = queue.popleft()
            if not visited[cur]:
                print(cur, end=' ')
            visited[cur] = True
            temp = []
            for i in self.data[cur]:
                if not visited[i]:
                    temp.append(i)
            temp.sort()
            queue.extend(temp)
from sys import stdin

node_edge_start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graph = Graph(node_edge_start[0])
li = []
for i in range(0, node_edge_start[1]):
    rawInput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graph.add_edge(rawInput[0], rawInput[1])
graph.dfs(node_edge_start[2])
print()
graph.bfs(node_edge_start[2])

 

728x90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2020.01.08
[백준] 2606번 바이러스  (0) 2020.01.08
[백준] 1912 연속합 (미해결)  (0) 2020.01.07
[백준] 9963번 N-Queen  (0) 2020.01.06
[백준] 15652번 N과 M (4)  (0) 2020.0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