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문제
[백준] 2252번 줄 세우기
feelcoding
2020. 2. 10. 00:05
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2252번: 줄 세우기
첫째 줄에 N(1≤N≤32,000), M(1≤M≤100,000)이 주어진다. M은 키를 비교한 회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이다. 학생들의 번호는 1번부터 N번이다.
www.acmicpc.net
처음에는 이렇게 제출했는데 시간초과가 났다.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m;
cin >> n >> m;
vector<int> student[32001];
for (int i = 0; i < m; i++) {
int shorter, taller;
cin >> shorter>> taller;
student[taller].push_back(shorter);
}
vector<int> result;
while(result.size() < n) {
for (int i = 1; i <= n; i++) {
if (student[i].size() == 0 && result.size() < n) {
result.push_back(i);
for (int j = 1; j <= n; j++) {
for (int k = 0; k < student[j].size(); k++) {
if (student[j][k] == i) student[j].erase(student[j].begin() + k);
}
}
}
}
}
for (int i = 0; i < result.size(); i++) {
cout << result[i] << " ";
}
return 0;
}
딱 봐도 시간초과가 날 것인게, while문 안에 3중 for문을 썼다. 반복문을 4개를 중첩해서 쓰니까 당연히 그럴 수밖에 없다.
그래서 다시 풀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m;
cin >> n >> m;
vector<int> student[32001];
vector<int> inDegree(n + 1);
for (int i = 0; i < m; i++) {
int shorter, taller;
cin >> shorter>> taller;
student[shorter].push_back(taller);
inDegree[taller]++;
}
queue<int> q;
for (int i = 1; i <= n; i++) {
if (inDegree[i] == 0) q.push(i);
}
while(!q.empty()) {
int cur = q.front();
q.pop();
cout << cur << " ";
for (int i = 0; i < student[cur].size(); i++) {
inDegree[student[cur][i]]--;
if (inDegree[student[cur][i]] == 0) q.push(student[cur][i]);
}
}
return 0;
}
역시 알고리즘은 정석대로 자료구조 책에 있는 방법대로 해야 하나보다. 그래도 자료구조 수업에서 위상정렬을 배운지 거의 6개월이 넘었는데 방법을 잊지 않고 스스로 구현했다는 것이 대단하다.
728x90